Programming Language/Javascript

2020/09/15 - JS - 변수, 함수, 자료형

Juveloper 2020. 9. 15. 22:20

1. (1) 변수의 정의 : 데이터를 저장할 때 쓰이는 '이름이 있는 저장소'.

1
2
3
let variable = 3;
//변수의 선언과 할당
// = -> '같다'의 의미가 아님, 어떠한 값을 할당하는 할당연산자!
cs

 

1. (2) 카멜 표기법 : 단어를 차례로 나열하면서 첫 단어를 제외하고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작성.

1
2
let myName = 'juyeop';
//카멜표기법
cs

 

1. (3) 바람직한 변수명 짓기

  •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이름을 사용하기!
  • 줄임말이나 a, b, c와 같은 짧은 이름은 피하기!
  • 최대한 서술적이고 간결하게!
  • 자신만의 규칙이나 소속된 팀의 규칙을 따르기! 

2. (1) 함수의 정의 : 스크립트 내에서 특정 동작을 수행함.

1
2
3
4
5
6
7
8
function mySalary (monthPay) {
  return 12 * monthPay;
//함수의 선언
//monthpay는 매개변수! 임의의 데이터를 함수 안에 전달하는 역할
 
let juyeopSalary = mySalary(5000000);
//함수의 호출(실행)하고 변수에 저장
cs

 

2. (2) 함수 이름 짓기

  • 함수 이름은 가능한 간결하고 명확해야 함.
  • 함수가 어떤 동작을 하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함.
  • 함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접두어로 동사를 쓰는 것이 관습(하지만 팀 내에서 규칙이 있다면 예외)

 

2. (3) 함수를 다룰 때 주의 사항

  • 외부에서 함수 내부에 선언된 변수에는 접근할 수 없음!(함수 내부에 선언된 변수는 지역변수이기 때문)
  • 함수는 값을 반환할 수 있고 반환하지 않는 경우 undefined가 반환됨!
  • 함수 이름에 언급되어 있지 않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작성하면 안 됨!

3. 자료형 : 자바스크립트에는 여덟 가지 기본 자료형이 있음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let number = 123;
//1. 숫자형
 
let string = "안녕하세요"
//2. 문자형
 
let bigInt = 3218371297847212837129847892798127489n;
//3. bigInt형
//매우 큰 숫자를 표현하기 위해
 
let bool = false;
//4. 불린형
//참과 거짓을 나타냄 1이냐 0이냐
 
let age = null;
//5. null
//아무것도 없음을 나타내는 null
 
let height = undefined;
//6. undefined
//값이 할당되지 않았음을 나타내는 undefined
 
let me = {
  name : "elliy",
  job : "developer",
  old : 36
}
//7. 객체형
//객체는 데이터 컬렉션이나 복잡한 개체(entity)를 표현
 
let symbol = Symbol("id");
//8. 심볼형
//객체의 고유한 식별자(unique identifier)를 만들 때 사용
c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