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DNS(Domain Name System)이란?

 

  도메인 네임 시스템 (Domain Name System, DNS)은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 (www.example.com)을

  IP주소로 변환하거나, 그 반대의 역학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.

 

  여기서 네트워크주소는 IP 주소라고도 한다.

  IP 주소(Internet Protocol address, IP address)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.

  즉 인터넷이라는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기들의 고유한 번호라고 생각하면 된다.

 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가 라우터이든 일반 서버이든, 모든 기계는 IP 주소를 가진다.

  이 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자를 대신하여 메시지가 전송되고 수신자를 향하여 예정된 목적지로 전달된다.

 

  사람이 어떤 웹 사이트에 접근하기 위해서 고유한 IP주소를 외우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.

  그렇기 때문에 DNS가 도입되었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할 것이다.

 

2. DNS의 작동 원리

  

출처 : https://www.netmanias.com/ko/post/blog/5353/dns/dns-basic-operation

  2 - 1) 위의 그림과 같이 PC 브라우저에서 www.naver.com을 입력한다.

          그러면 PC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Local DNS에게 "www.naver.com"에 대한 IP 주소를 요청한다.

 

  2 - 2) Local DNS 에는 "www.naver.com의 IP 주소"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.

            만약 있다면 Local DNS 가 바로 PC에 IP 주소를 주고 끝난다.

            하지만 본 설명에서는 Local DNS에 "www.naver.com 의 IP 주소"가 없다고 가정한다.

 

  2 - 3) Local DNS는 이제 "www.naver.com 의 IP 주소"를 찾아내기 위해 다른 DNS 서버들과 통신(DNS 메시지)을 시작한다.

            먼저 Root DNS 서버에게 "www.naver.com 의 IP 주소"를 요청하게 된다.

            이를 위해 각 Local DNS 서버에는 Root DNS 서버의 정보 (IP 주소)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. 

            

  2 - 4) 만약 Root DNS 서버에서도 "www.naver.com의 IP 주소"를 찾을 수 없다면 Local DNS 서버에게

            "www.naver.com 의 IP 주소 찾을 수 없다. 다른 DNS 서버에게 물어봐"라고 응답을 한다.

 

  2 - 5) 이 다른 DNS 서버는 com 도메인 을 관리하는 DNS 서버이다.

 

  2 - 6) 이제 Local DNS 서버는 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DNS 서버에 다시 www.naver.com에 대한 IP 주소를 요청한다.

 

  2 - 7) 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DNS 서버에도 해당 정보가 없으면, Local DNS 서버에게 "www.naver.com의 IP 주소 찾을 수 없음.

            다른 DNS 서버에게 물어봐" 라고 응답을 합니다. 이 다른 DNS 서버는 naver.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DNS 서버이다.

 

  2 - 8) 이제 Local DNS 서버는 naver.com DNS 서버에게 다시 "www.naver.com의 IP 주소" 를 요청한다.

 

  2 - 9) naver.com DNS 서버에는 "www.naver.com 의 IP 주소"가 있다.

            그래서 Local DNS 서버에게 "www.naver.com에 대한 IP 주소는 222.122.195.6"라는 응답을 한다.

 

  2 - 10) 이를 수신한 Local DNS는 www.naver.com의 IP 주소를 캐싱을 하고 이후 다른 요청이 있을 시 응답할 수 있도록 IP 주소 정보를 단말(PC)에 전달해 준다.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