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문자열 : 자바스크립트 자료형중 하나이다. 작은 따옴표, 큰 따옴표, 백틱으로 문자열을 표현할 수 있다.

1
2
3
4
let single = '작은 따옴표';
let Double = '큰 따옴표';
let backticks = `백틱`;
 
cs

나머지 두 개와 달리 백틱에는 특별한 기능이 있다. 표현식을 ${…}로 감싸고 이를 백틱으로 감싼 문자열 중간에 넣어주면 해당 표현식을 문자열 중간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. 이런 방식을 템플릿 리터럴(template literal)이라고 한다.

예시는 다음과 같다.

1
2
3
4
let number = 3;
console.log(`number의 할당된 수는 ${number}이다.`)
//number의 할당된 수는 3이다.
//탬플릿 리터럴
cs

2. 문자열의 길이 : length라는 프로퍼티를 이용하면 문자열의 길이를 쉽게 알 수 있다.

1
2
3
4
let string = 'length'
console.log(string.length)
// length는 6글자니까 결과는 6!
 
cs

3. 특정 글자 찾기 : 문자열에서도 마치 배열에서 인덱스를 통해 원소를 찾는 것과 같이 특정 글자에 접근할 수 있다.

1
2
3
let string = 'juyeop'
console.log(string[0]) // j
console.log(string[3]) // e
cs

배열도 첫 원소의 인덱스 값이 0부터 시작하듯이 문자열의 첫 글자도 0부터 시작한다!

 

*주의 사항 : 어떤 위치던지 글자 하나를 바꾸려고 하면 에러가 남!

1
2
3
let string = 'juyeop'
// string[0] = w;
// 위처럼 문자 하나를 수정하려하면 에러가 발생한다!
cs

4. 유용한 메소드

4 - 1 ) toLowerCase :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

4 - 2 ) toUpperCase :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

1
2
3
4
5
6
7
8
9
let string = 'juYeoP'
let lower = string.toLowerCase()
let upper = string.toUpperCase()
console.log(lower) //juyeop
console.log(upper) //JUYEOP
 
//문자 하나만 취급도 가능함!
let onlyTwoIndexUpper = lower[1].toUpperCase()
console.log(onlyTwoIndexUpper) //U
cs

 

4 - 3 ) indexOf : 문자열에서 찾고자 하는 문자가 몇 번째 인덱스에 위치하는 지 알고자 할때!

1
2
3
4
let string = 'juYeoP good'
let lower = string.indexOf("g")
console.log(lower) //7
 
cs

 

4 - 4 ) includes : 찾고자 하는 부분 문자열이 있는지 없는지 알고싶을 때! 반환 값은 true나 false이다!

1
2
3
let string = 'juYeoP good'
let lower = string.includes("x")
console.log(lower) //false
cs

 

4 - 5 ) startsWith, endsWith : 문자열이 특정 부분 문자열로 시작하는지 또는 끝나는지 확인하고싶을 때!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마찬가지로 불린 값을 반환한다. 대소문자 구별에 주의하자

1
2
3
let string = 'juYeoP good'
let lower = string.startsWith("juy")
console.log(lower) //false
cs

 

4 - 6 ) slice, substring, substr : 특정 문자열을 추출하는 메소드들이다. 각 메소드마다 차이점이 존재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let string = 'juYeoP good'
let slice = string.slice(02)
//index 0 부터 2개를 추출!
//마지막 매개변수가 2라서 2개가 아니고
//index번호 0번부터 2번 전까지 추출하라는 의미이다.
//그래서 2개라고 이해하도 무리가 없을 것 같다.
console.log(slice) //ju
 
let substring = string.substring(20)
//slice와 거의 같다. 다른점은 시작 번호와 끝 번호가
//뒤바뀌어도 동작한다는 점!
console.log(substring//ju
 
let substr = string.substr(05)
//시작 번호 0번부터 5만큼의 길이를 출력!
//즉 0부터 시작해 5개를 출력하는 것과 같다
console.log(substr//juYeo
cs

 

*주의할 점 : substr는 브라우저 이외의 호스트 환경에서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따라서 slice나 substring을 쓰는 것을 추천한다!!

 

'Programming Language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losure  (0) 2020.11.04
Scope  (0) 2020.11.04
2020/09/30 - JS - 반복문  (0) 2020.09.30
2020/09/17 - JS - 비교 연산자, 논리 연산자, 조건문, Truthy & Falsy  (0) 2020.09.17
2020/09/15 - JS - 변수, 함수, 자료형  (0) 2020.09.15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