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String에 있는 유용한 메소드 정리
1 - 1) indexOf : 문자열 내에 특정 문자열을 찾기 위해 해당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다.
.indexOf 메소드는 검색하고자 하는 문자열을 매개변수로 받는다.
만약 매개변수로 받은 문자열이 존재한다면 문자열이 시작하는 index를 반환하고
문자열이 존재하지않으면 -1을 반환한다.
1
2
|
'blossom'.indexOf('b') //b의 위치인 0을 반환
'blossom'.indexOf('c') //c는 존재하지 않으니 -1을
|
cs |
1 - 2) .split(separator) : 문자열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기 위해 해당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다.
split 메소드는 하나의 매개변수를 입력받아 부분 문자열 배열을 생성한다.
1
2
3
4
5
6
|
var test1 = 'chicken,noodle,soup,broth';
test1.split(','); // ['chicken', 'noodle', 'soup', 'broth']
var test2 = 'chicken'
test2.split(''); // ['c', 'h', 'i', 'c', 'k', 'e', 'n']
// 빈 분리자를 전달하면 문자열 내 모든 문자로 구성된 배열이 생성된다.
|
cs |
1 - 3) .replace(string, replaceString) : 문자열 변수 내에 특정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대체한다.
1
2
3
|
var test1 = 'backend developer';
test1 = test1.replace('back', 'front')
// frontend developer
|
cs |
2. 정규 표현식
2 - 1) 정규 표현식은 검색 패턴을 정의한 문자열들의 집합이다. 자바스크립트에는 정규 표현식에 사용할 수 있는
기본 객체 RegExp가 포함된다.
2 - 2) RegExp의 생성자가 받는 매개변수에는 필수 매개변수인 정규 표현식과 선택 매개변수인 일치 관련 설정이 있다.
다음은 일치 관련 설정 매개변수의 세부 내용이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i :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고 일치하는 문자열을 검색한다.
g : 전역적으로 일치하는 문자열을 검색한다.(일치하는 문자열을 처음 발견한 이후 멈추는 대신 모든 일치하는 문자열을 찾는다.)
m : 다중열 문자열에 대해서도 일치하는 문자열을 검색한다.
2 - 3) RegExp에는 두 가지 함수가 있다.
search() : 문자열 내에 일치하는 문자열을 찾는다. 일치하는 문자열의 인덱스를 반환한다.
match() : 일치하는 문자열을 찾는다. 모든 일치하는 문자열을 반환한다.
2 - 4) 자바스크립트 String 객체에는 정규 표현식과 관련된 다음 두 가지 함수가 있는데 두 함수는 RegExp 객체를 인자로 받는다.
exec() : 문자열 내에 일치하는 문자열을 찾늗나. 일치하는 첫 번째 문자열을 반환한다.
test() : 문자열 내에 일치하는 문자열을 찾는다. true 또는 false를 반환한다.
3. 기본 정규 표현식
3 - 1) ^ : 문자열/줄의 시작을 나타낸다.
3 - 2) /d : 모든 숫자를 찾는다.
3 - 3) [abc] : 괄호 내의 모든 문자를 찾는다.
3 - 4) [^abc] : 괄호 내의 문자들을 제외한 모든 문자를 찾는다.
3 - 5) [0-9] : 괄호 내의 모든 숫자를 찾는다.
3 - 6) [^0-9] : 괄호 내의 숫자들을 제외한 모든 숫자를 찾는다.
3 - 7) (x|y) : x 또는 y를 찾는다.
4. 자주 사용하는 정규 표현식
정규 표현식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유효한지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다.
다음은 개발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5가지 정규 표현식이다.
예시를 통해 알아보자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| //숫자를 포함하는 문자 var reg1 = /\d+/; console.log(reg1.test("123")); //true console.log(reg1.test("1dsad")); //true console.log(reg1.test("dadsad")); //false //숫자만 포함하는 문자 var reg2 = /^\d+$/; console.log(reg2.test("13")); //true console.log(reg2.test("a")); //false console.log(reg2.test("a1")); //false //부동소수점 문자 var reg3 = /^[0-9]*.[0-9]*[1-9]+$/; console.log(reg3.test("13.3")); //true console.log(reg3.test("13")); //false //숫자와 알파벳만을 포함하는 문자 var reg4 = /[a-zA-Z0-9]/; console.log(reg4.test("sadosadkZ")); //true console.log(reg4.test("112A")); //true console.log(reg4.test("112")); //true console.log(reg4.test("^")); //false | cs |
'Computer Science > 자료구조와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 6장 - 자바스크립트 객체 (0) | 2020.10.27 |
---|---|
제 5장 - 자바스크립트 배열 (0) | 2020.10.26 |
제 3장 - 자바스크립트 숫자 (0) | 2020.10.15 |
제 2장 - 자바스크립트의 독특한 특징 (0) | 2020.10.13 |
제 1장 - 빅오 표기법 (0) | 2020.10.13 |